나의 첫 발걸음
재무 회계에 대하여 -- 2 본문
전산 세무 1장 재무회계
01 회계의 기초개념
6. 재무제표의 기본 전제
--기업실체를 둘러싼 환경으로부터 도출해낸 회계 이론 전개의 기초가 되는 사실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회계 공준 또는 환경적 가정이라고도 한다.
1) 발생 기준(accrual base)
- 발생(accrual) : 미수수익과 같이 미래에 수취하게 될 자산을 관련된 수익과 함께 인식하거나 또는 미지급비용과 같이 미래에 지급할 부채를 관련된 비용과 함께 인식하는 회계 과정을 의미한다
- 이연(defer) : 선수수익과 같이 현재의 현금유입액을 미래에 수익으로 인식하기 위해 부채로 인식하거나 선급비용과 같이 현재의 현금유출액을 미래에 비용으로 인식하기 위해 자산으로 인식하는 회계 과정을 의미한다.
2) 회계 공준
- 기업실체 공준 : 소유주와 법인이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 계속기업 공준 : 기업의 목적과 이익을 달성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기간 동안 존속한다.
- 기간별 보고 가정 : 존속기간을 회계기간으로 분할하여 적시성 있게 보고한다.
7. 재무제표 정보의 질적 특성
--질적 특성은 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유용하기 위하여 회계 정보가 갖추어야 할 주요 속성을 말한다.
1) 이해가능성(understandability) : 정보이용자들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재무제표가 작성,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재무정보가 유용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다.
2) 목적적 합성 : 회계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미래의 예측을 돕거나, 기대치를 확인, 수정하게 함으로써 의사결정의 내용에 차이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 예측 가치 : 미래에 대한 예측능력을 재고시켜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적 특성
- 피드백 가치 : 과거 기대치를 확인, 수정함으로써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적 특성
- 적시성 : 정보가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하기 전에 필요한 정보가 적시에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3) 신뢰성 : 회계정보가 오류나 편견으로부터 벗어나 나타내고자 하는 것을 충실하게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는 속성이다.
- 표현의 충실성 : 특정 정보는 그 정보가 나타내고자 하는 것을 충실하게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는 속성이다.
- 중립성 : 미리 의도된 결과나 성과를 유도할 목적으로 재무제표상에 특정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 검증 가능성 : 동일한 경제적 사건에 대해 동일 측정방법을 적용할 경우 다수의 서로 다른 측정자들이 유사한 결론에 도달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4) 비교가능성
- 통일성(untiy) : 동일업종에서 동일 회계처리를 한다. 방법 선택으로 인한 기업 간의 비교가능성
- 계속성(일관성, consistency) : 동일 기업 내에서 동일 회계처리를 한다. 방법의 계속 적용으로 인한 기간별 비교가능성
5) 실질 우선 : 재무제표가 목적 적합하고 신뢰할 수 있기 위해서는 재무제표 작성 시 거래나 사건을 형식보다는 경제적 실질에 따라 회계 처리하고 보고해야 한다는 것이다.
6) 효익, 비용간 균형 특정 정보로부터 기대되는 효익이 그 정보제공으로 소요되는 비용을 초과해야 한다는 것으로 재무제표 정보의 제공에 대한 포괄적 제약이다.
8. 재무제표 기본 요소의 인식
--인식이란, 특정 거래 또는 경제적 사건의 경제효과를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 등으로 구분하여 재무제표에 계상하는 것이다. 재무제표 기본 요소의 정의에 부합되고 다음의 인식 기준 충족 시 이를 인식한다.
1)당해 과목과 관련된 미래의 경제적 효익이 기업실체에 유입되거나 또는 유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2)당해 항목에 관한 측정 속성이 있으며 이를 적용하여 당해 항목의 금액이 신뢰성 있게 측정될 수 있어야 한다.
9. 재무제표 기본 요소의 측정
1) 측정기준
- 역사적 원가(취득원가) : 자산 취득 시 대가로 지급한 현금 또는 기타 지급수단의 공정가치
- 현행 원가 : 자산은 동일 또는 유사한 자산을 현재 시점에서 취득 시 지금 해야 할 현금성 자산
- 현행 유출 가치 : 자산은 현재의 정상적 처분 거래에서 수취될 수 있는 현금이나 현금성 자산
- 순실 현기 능가치 : 자산은 추정 판매가 빼기 추정비용, 부채는 추정 상환가 더하기 추정비용
- 기업특유 가치(사용가치) : 자산(부채)을 계속 사용, 보유 시 기대되는 미래 현금유입(현금유출)의 현재가치
- 상각 후 가액 : 유효이자율을 이용하여 당해 자산(부채)에 대한 현재가액을 측정한 가액(사용 이자율은 역사적 이자율)
2) 재무회계개념 체계 제정 목적
- 회계기준 제정, 개정에 기본적 방향과 일관성 있는 지침을 제공한다.
- 회계기준의 적용 및 재무제표 작성, 공시에 통일성 부여한다.
- 감사인의 의견 형성의 기초가 되는 일관성 있는 지침을 제공한다.
- 재무제표 이용자가 재무제표 작성 시 사용된 기본 전제와 제 개념에 대한 이해가능성 재고시키고 재무제표 해석하는데 도움을 제공한다.
'전산세무 > 전산세무 제1편 이론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출 채권 이란 (0) | 2022.03.15 |
---|---|
당좌 자산이란 (0) | 2022.03.14 |
기업의 경영 성과에 대해 (0) | 2022.03.13 |
기업의 재무 상태란 (0) | 2022.03.12 |
재무 회계에 대하여--1 (0) | 2022.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