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첫 발걸음
당좌 자산이란 본문
전산 세무 1장 재무회계
04 당좌 자산
-- 현금, 소유지분에 대한 증서 및 현금(또는 다른 금융자산)을 수취하거나 유리한 조건으로 금융자산을 교환할 수 있는 계약상의 권리이다.
1. 현금 및 현금성 자산(cashable assets)
--통화 및 타인 발생 수표 등 통화 대용 증권과 당좌 예금, 보통 예금 및 큰 거래비용 없이 현금으로 전환이 용이하고 이자율 변동에 따른 가치 변동의 위험이 경미한 금융상품으로 취득 당시 만기일(또는 상환일)이 3개월 이내인 것을 말한다.
1) 통화 : 주화와 지폐
2) 통화 대용 증권 : 자기 앞 수표, 가계 수표, 송금 수표, 여행자 수표, 타인 발행 당좌 수표, 우편환 증서, 전신환 증서, 만기 도래 이 자 표, 배당 통지표, 국고 환급금 통지서, 일람 불어음
3) 요구불예금 : 보통 예금, 당좌 예금, 자유 저축 예금
4) 현금성 자산 : 취득일로부터 만기(상환일)가 3개월 이내 도래하는 금융상품과 우선주
거래 내용 | 차변 | 대변 |
거래처로부터 외상매출금 회수시 타인발행당좌수표 ₩10,000을 수령시 |
현금 10,000 | 외상매출금 10,000 |
거래처로부터 외상매출금 회수시 자기앞수표 ₩20,000을 수령시 |
현금 20,000 | 외상매출금 20,000 |
상품을 ₩30,000을 매입 후 가계수표를 지급시 | 상품 30,000 | 현금 30,000 |
2. 현금 과부족(cash short and over)
--현금의 장부상 잔액과 실제 잔액은 항상 일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장부기입의 누락, 계산상의 착오, 보관 부주의로 인한 도난과 분실 등으로 현금의 실제 잔액과 장부 잔액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불일치의 원인이 밝혀질 때까지 그 차액을 "현금 과부족" 계정에 기입하여 현금의 실제 잔액과 장부 잔액을 일치시켜야 한다.
현금과 부족 계정은 일시적으로 처리하는 계정이므로 다음 연도로 이월하지 못하고 결산시에는 반드시 소멸시켜야 한다.
만약 결산시까지 원인불명일 경우 현금과 부족 계정을 "잡이익"이나 "잡손실"로 대체하여 소멸시킨다.
1) 현금 실제 잔액이 장부 잔액보다 적은 경우(실제 잔액 <장부 잔액)
거래 내용 | 차변 | 대변 |
현금의 장부잔액이 ₩40,000이고 실제잔액은 ₩30,000이므로 원인을 조사 중이다. | 현금과부족 10,000 | 현금 10,000 |
위의 부족액 중 ₩6,000은 보험료 지금기장 누락으로 판명된다. | 보험료 6,000 | 현금과부족 6,000 |
결산시까지 부족액 ₩4,000이 원인 불명이다. | 잡손실 4,000 | 현금과부족 4,000 |
2) 현금 실제 잔액이 장부 잔액보다 많은 경우(실제 잔액> 장부 잔액)
거래 내용 | 차변 | 대변 |
현금의 장부잔액이 ₩20,000이고 실제 잔액은 ₩26,000이므로 원인을 조사중이다. | 현금 6,000 | 현금과부족 6,000 |
위의 과잉액 중 ₩4,000은 임대료 수입의 기장 누락으로 판명된다. |
현금과부족 4,000 | 임대료 4,000 |
결산시까지 과잉액 ₩2,000이 원인 불명이다. | 현금과부족 2,000 | 잡이익 2,000 |
3. 당좌예금(checking account)
--은행과 당좌거래약정을 맺고 당좌개설 보증금을 납입한 후 입금표에 의해 입금하고 출금은 당좌수표에 의해 인출한다.
당좌예금계정은 자산계정으로써 잔액은 항상 차변에 생기며 이것은 당좌예금의 잔액을 표시한다.
거래 내용 | 차변 | 대변 |
현금 ₩100,000을 당좌 예입하다. | 당좌예금 100,000 | 현금 100,000 |
상품을 ₩80,000 매입하고 대금은 수표발행 하여 지급하다. | 상품 80,000 | 당좌예금 80,000 |
외상매출금 ₩40,000을 당점발행 수표로 받다. | 당좌예금 40,000 | 외상매출금 40,000 |
4. 당좌차월(bank overdraft)
--당좌차월은 거래 은행과 당좌차월 계약을 맺은 후 당좌예금 잔액을 초과하여 수표를 발행하여 자금을 빌리는 것이므로
부채 계정인 단기차입금 또는 당좌차월 계정에서 회계 처리한다.
거래 내용 | 차변 | 대변 |
현금 ₩100,000을 당좌예금하다. | 당좌예금 100,000 | 현금 100,000 |
상품 ₩130,000을 수표발행하여 매입하다. (당좌예금잔액은 ₩100,000) |
상품 130,000 | 당좌예금 100,000 단기차입금 30,000 (또는 당좌차월) |
현금 ₩70,000을 당좌예금하다. (당좌차월은 ₩30,000) |
단기차입금 30,000 당좌예금 40,000 |
현금 70,000 |
5. 보통예금(ordinary deposit)
--당좌예금 이외의 보통예금, 저축예금 등은 예금의 종류별로 계정을 설정하여 회계 처리할 수도 있고, 예금의 금액이 적고 거래가 드문 경우에는 이러한 각종의 예금을 재예 금 계정으로 일괄 처리할 수도 있다.
6. 단기매매증권(trading securities)
--단기매매증권은 단기보유목적으로 구입한 유가증권을 말한다. 단기매매증권의 취득 시 수수료는 영업외 비용인 수수료 비용으로 처리한다. 단기매매증권의 경우 기말에 단기매매증권의 공정가액으로 해당 증권의 가치를 평가하고 평가차 손익이 발생할 경우 즉시 손익계산서 및 재무상태표에 해당 금액을 반영하여 기말 장부상 가액과 공정가치가 동일하도록 평가 및 결산서에 반영하여야 한다.
'전산세무 > 전산세무 제1편 이론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고 자산이란 (0) | 2022.03.16 |
---|---|
매출 채권 이란 (0) | 2022.03.15 |
기업의 경영 성과에 대해 (0) | 2022.03.13 |
기업의 재무 상태란 (0) | 2022.03.12 |
재무 회계에 대하여 -- 2 (0) | 2022.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