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첫 발걸음

부문별 원가 회계 기초 본문

전산세무/전산세무 제1편 이론편

부문별 원가 회계 기초

pinkbee 2022. 4. 3. 21:31
반응형

전산 세무 2장 원가회계

03 부문별 원가회계

 

1. 부문별 원가회계 기초

1) 부문별 원가회계의 의미

--부문별 원가회계란 제품의 제조원가를 계산하는 데 있어 제조간접비를 각 제품에 보다 더 정확하게 배부하기 위하여 제조간접비를 발생 장소인 부문별로 분류, 집계하는 절차를 말한다.

부문별 원가회계는 각 제품의 제조원가를 보다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고, 원가의 관리 및 통제에 필요한 자료를 얻는데도 유리하다.

 

2) 원가부문의 설정

--원가부문이란 원가가 발생하는 장소로 작업장소, 생산기술, 경영조직 등에 따라 구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제조활동에 직접 참여하는 제조부문과 제조활동에는 직접 참여하지 않는 보조 부문으로 나눌 수 있다.

  • 제조부문 : 제조기업의 경영 목적인 제품을 직접 제조하는 부문으로 절단 부문, 조립부문, 선반부문, 주조 부문으로 나눌 수 있다.
  • 보조 부문 : 제조활동에는 직접 참여하지 않고 제조부문의 활동을 보조하는 부문으로 동력 부문, 수선 부문, 공장 사무부문 등을 설정할 수 있다.

2. 부문별 원가회계 절차

1) 부문별 원가회계 절차

--제조부문과 보조 부문이 있는 제조기업의 부문별 원가회계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 제1단계 : 부문 개별 제조간접비(=부문 개별 비)를 각 부문에 부과
  • 제2단계 : 부문 공통 제조간접비(=부문 공통비)를 각 부문에 배부
  • 제3단계 : 보조 부문비를 제조부문에 배부
  • 제4단계 : 제조 부문비를 각 제품에 배부

2) 부문 개별 비의 부과

--부문 개별 비는 특정 부문에서 개별적으로 발생하는 제조 간접비로 부문 직접비라고도 하며 해당 부문에 직접 부과할 수 있다. 특정 부문의 책임자 급료나 특정 부문에서만 사용하는 기계의 감가상각비 등이 있다.

 

3) 부문 공통비의 배부

--부문 공통비는 여러 부문에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제조간접비로 부문 간접비라고도 하며 특정 부문의 발생액을 파악할 수 없으므로 일정한 배부기준에 따라 제조부문과 보조 부문에 배부하여야 한다.

부문 공통비 배부기준
간접재료비 각 부문의 직접재료비
간접노무비 각 부문의 직접노무비, 종업원수, 직접노동시간 등
감가상각비 기계의 경우 : 각 부문의 기계사용시간 또는 기계가격
건물의 경우 : 각 부문의 면적                               
동력비 각 부문의 전력소비량 또는 기계마력수 x 운전시간
수선비 각 부문의 수선횟수 또는 수선가액
가스수도비 각 부문의 가스, 수도사용량
운반비 각 부문의 운반 물품 무게, 운반 거리, 운반 횟수 등
복리후생비 각 부문의 종업원수
임차료, 화재보험료 각 부문이 차지하는 면적 또는 기계의 가격

 4) 보조 부문비의 배부

--제조부문의 부문비 발생액과 보조 부문의 부문비 발생액이 집계되면 복수의 보조 부문비는 제조(생산) 부문을 보조해 주는 부서의 비용으로 다시 제조부문에 배부하여야 하는데 배부방법에는 직접 배부 법, 단계 배부 법, 상호 배부 법 등이 있다. 보조 부문이 하나인 경우 변동 제조간접비와 고정 제조간접비의 구분에 따라 단일 배부 율법과 이중 배부 율법(변동 제조간접비는 실제 조업도, 고정 제조간접비는 최대 조업도 기준)이 있다.

  • 직접 배부 법 : 보조 부문 상호 간의 용역 수수 관계가 적은 경우에 보조 부문 상호 간의 용역 수수를 완전히 무시하고 모든 보조 부문을 제조부문에 제공하는 용역 비율에 따라 제 조 부에만 직접 배부하는 방법이다.
  • 단계 배부 법 : 보조 부문들 간에 일정한 배부 순서를 정한 다음 그 순서에 따라 보조부 문비를 단계적으로 다른 보조부 문과 제조부문에 배부하는 방법으로 계단식 배부 법이라고도 한다. 단계 배부 법은 보조 부문 상호 간의 용역 수수 관계를 일부만 반영하는 방법이다.
  • 상호 배부 법 : 보조 부문 상호 간의 용역 수수 관계를 완전하게 고려하는 방법으로 보조 부문비를 제조부문뿐만 아니라 보조 부문 상호 간에도 배부하는 방법이다. 상호 배부 법은 원가배부가 정확하며 보조 부문비의 배부가 배부 순서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5) 보조 부문비의 제조부문에 대한 배부기준

  • 단일 배부 율법 : 변동비와 고정비 구분 없이 하나의 배부기준에 의해 배부
  • 이중 배부 율법 : 변동비는 실제 사용량 기준으로 하고 고정비는 최대 사용량 기준으로 배부

6) 제조 부문비의 제품에의 배부

--각 제조부문에 집계된 제조 부문비는 적절한 배부기준에 따라 각 제조부문을 거쳐간 각 제품에 배부하여 제품 원가를 계산한다. 배부기준에는 가액 법이나 시간 법 등이 있으며 배부방법에는 공장 전체 배부 율법(하나의 배부기준)과 부문별 배부 율법이 있다.

반응형

'전산세무 > 전산세무 제1편 이론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원가계산의 절차  (0) 2022.04.05
개별 원가 계산 방법  (0) 2022.04.04
요소별 원가회계  (0) 2022.04.02
원가회계의 기초--2  (0) 2022.03.31
원가회계의 기초--1  (0) 2022.03.3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