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첫 발걸음
유동부채란 본문
전산 세무 1장 재무회계
11 유동부채 (current liabilities)
기업이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장래에 일정한 기간 내에 갚아야 할 각종의 채무로서 1년 이내에 지급해야 할 유동부채와 1년 이후에 지급해야 할 비유동부채로 구분된다.
다만 정상적인 영업 주기 내에 소멸할 것으로 예상되는 매입채무와 미지급비용 등은 보고기간 종료일로부터 1년 이내에 결제되지 않더라도 유동부채로 분류한다. 이 경우 유동부채로 분류한 금액 중 1년 이내에 결제되지 않을 금액일 주석으로 기재한다.
과 목 | 내 용 |
외상 매입금 | 상품, 원재료를 외상으로 매입한 경우 |
지급 어음 | 상품, 원재료를 매입하고 어음을 발행한 경우 |
매입 채무 | 외상매입금과 지급어음 금액을 합한 금액 |
단기 차입금 | 1년 이내에 지급할 조건으로 현금을 빌려온 경우 |
미 지급금 | 상품, 원재료 이외의 자산을 외상으로 구입한 경우 |
1. 매입채무(accounts payable)
--매입채무란 매입처와의 일반적인 상거래에서 발생하는 채무를 말한다.
1) 외상매입금(accounts payable)
--상품, 원재료 등 정상적인 영업활동에서 물품을 외상으로 매입 시 기재하는 채무이다.
구 분 | 통제 계정 | |
차변 대변 | ||
상품을 5,000원에 외상매입시 | 상품 5,000 | 외상 매입금 5,000 |
상품매출중 하자로 50원 매입환출 및 에누리 | 외상 매입금 50 | 매입환출 및 에누리 50 |
외상대금지급시 | 외상 매입금 4,950 | 현금 4,950 |
2) 지급어음(note payable)
--상품 등을 매입하거나 외상매입금 상환을 위해서 약속어음을 발행하거나 환어음을 인수한 경우의 채무발생과 채무 소멸을 기입하는 부채 계정이다.
발행인(지급인)이 수취인에게 일정한 장소에서 일정한 금액을 일정한 날짜에 지급할 것을 약속한 증서로써 발행인은 어음상의 채무자가 되고, 수취인은 어음상의 채권자가 된다.
거래내용 | 차변 | 대변 |
상품을 200,000원에 매입하고 약속어음을 발행시 | 상품 200,000 | 지급 어음 200,000 |
상품을 200,000원에 매출하고 약속어음을 받으면 | 받을 어음 200,000 | 상품 매출 200,000 |
2. 미수금과 미지급금
--정상적인 상거래와는 관련 없이 건물, 비품, 유가증권 등의 구입, 처분과 관련해서 발생되는 어음거래와 외상거래는 미수금과 미지급금 계정으로 처리한다.
거래내용 | 차변 | 대변 |
토지를 50,000원(장부금액)에 처분하고 약속어음을 수취하다. | 미수금 50,000 | 토지 50,000 |
영업용 책상을 60,000원에 구입하고 약속어음을 발행하다. | 비품 60,000 | 미지급금 60,000 |
영업용 책상을 60,000원에 구입하고 외상으로 하다. | 비품 60,000 | 미지급금 60,000 |
3. 유동성 장기부채
--비유동부채중 상환일이 보고기간 종료일로부터 1년 이내 도래하는 채무를 유동성 장기부채라고 한다.
거래내용 | 차변 | 대변 |
장기차입금 10,000원이 다음 연도에 상환기일이 도래한다. | 장기차입금 10,000 | 유동성장기부채 10,000 |
'전산세무 > 전산세무 제1편 이론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유동부채의 종류 (0) | 2022.03.26 |
---|---|
유사 계정 과목 비교 (0) | 2022.03.25 |
투자자산의 분류 (0) | 2022.03.22 |
무형 자산 취득 방법 (0) | 2022.03.21 |
감가상각이란 (0) | 2022.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