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첫 발걸음
비유동부채의 종류 본문
전산 세무 1장 재무회계
13 비유동부채(long term liability)
1. 사채(corporate bond)
--1년 후에 상환되는 사채의 액면가액으로 하되, 사채는 회사가 일반 투자 대중으로부터 거액의 자금을 장기간 차입, 사용하기 위하여 발행한 기업의 채무증권이다. 사채의 발행가액은 액면가액의 현재가치와 이자의 연금 현재가치의 합계이다.
1) 사채의 발행방법
- 평가 발행(발행 가격 100원 = 액면가액 100원) (시장이자율 = 액면이자율)
- 할인발행(발행 가격 70원 < 액면가액 100원) (시장이자율 < 액면이자율)
- 할증발행(발행 가격 130원 > 액면가액 100원) (시장이자율 > 액면이자율)
2) 사채 발행비의 회계처리
--사채 발행 시 든 제비용(사채권 인쇄비 등)을 사채 발행비라 하며, 이는 사채의 발행 가격에서 차감하여 회계 처리한다.
3) 사채이자
--사채 발행한 후, 매 기간 이자 지급시마다 유효이자율 법에 의한 이자금액을 계산한 후 유효 이자금액과 액면이자금액의 차액을, 할인발행의 경우에는 사채 할인발행자금(상각) 액으로 처리하며, 할증발행의 경우에는 사채 할증발행 차금(환입) 액으로 처리한다.
- 평가 발행의 경우 이자지급 시 : 차) 이자비용(유효이자) 대) 현금(액면이자)
- 할인발행의 경우 이자지급 시 : 차) 이자비용(유효이자) 대) 현금(액면이자) 사채 할인발행 차금
- 할증발행의 경우 이자지급 시 : 차) 이자비용(유효이자) 사채 할증발행 차금 대) 현금(액면이자)
2. 퇴직급여 충당부채(allowance for severance liability)
--퇴직급여 충당부채란 임직원이 퇴직할 경우에 지급되는 퇴직금을 예상하여 결산기말에 계상하는 부채성 충당부채이며, 퇴직급여 충당부채 한도액은 결산기말 현재 전 임직원이 일시에 퇴직할 경우 지급하여야 할 퇴직금에 상당하는 금액이다.
퇴직급여 충당부채는 퇴사 시 사용하며 부족액은 바로 비용 처리한다.
3. 퇴직연금제도(retirement pension)
--퇴직연금제도의 종류는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제도(defined benefit)와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defined contribution), 그리고 개인형 퇴직연금(IRP) 세 가지가 있다.
이 셋 중 선택은 근로자 측에서 한다.
1)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제도(defined benefit)
--근로자와 회사가 사전에 연금급여(퇴직금)의 수준 내용을 약정하고 근로자가 일정한 연령에 달한 때에 약정에 따른 급여를 지급하는 연금제도이다. 자산의 운용책임이 회사에 있어서 운영 소득에 대한 모든 위험을 회사가 부담한다.
- 연금급여 예치 시 : 차) 퇴직연금운용자산 대) 현금 등
- 결산시점 퇴직급여 충당부채 계상 : 차) 퇴직급여 대) 퇴직급여 충당부채
- 퇴직 시 : 차) 퇴직급여 충당부채 퇴직급여 대) 퇴직연금운용자산(일시금 가정)
2)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defined contribution)
--근로자와 회사가 사전에 부담할 기여금을 확정하고 적립하고 일정한 연령에 달한 때에 그 운용 결과에 기초하여 급여가 지급되는 연금제도이다. 자산의 운영이 근로자 책임하에 위험과 수익이 이루어진다. 회사는 연간 급여총액의 1/12 이상을 부담금으로 납부하여야 한다. 근로자가 자기 책임하에 운용하므로 추가로 부담금의 불입이 가능하고 근로자마다 각자의 계좌가 있어 통산할 수 있다.
- 기여금을 부담할 때마다 : 차) 퇴직급여 xxx 대) 현금 등 xxx
3) 개인형 퇴직연금(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IRP)
--근로자의 퇴직금을 자신 명의의 퇴직 계좌에 적립해 연금 등 노후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제도이다.
- 저축 시마다 : 차) 퇴직급여 xxx 대) 현금 등 xxx
'전산세무 > 전산세무 제1편 이론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익과 비용 (0) | 2022.03.28 |
---|---|
자본의 종류 (0) | 2022.03.27 |
유사 계정 과목 비교 (0) | 2022.03.25 |
유동부채란 (0) | 2022.03.23 |
투자자산의 분류 (0) | 2022.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