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첫 발걸음

자본의 종류 본문

전산세무/전산세무 제1편 이론편

자본의 종류

pinkbee 2022. 3. 27. 23:15
반응형

전산 세무 1장 재무회계

14 자본

--법인의 자본은 자본금,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기타 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을 말한다.

 

1. 자본금(capital stock)

--자본금은 법정자본금을 말하며 보통주와 우선주는 배당금 지급 및 청산 시의 권리가 상이하기 때문에 보통주 자본금과 우선주 자본금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1) 주식발행

--상법에서는 수권 자본제를 도입하여 정관에 발행할 주식의 총수를 정하여 회사 설립 시에는 일정액 이상을 발행하고 나머지는 자금이 필요할 때 수시로 이사회의 의결로 주식을 발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주식 할인발행 차금과 주식발행 초과금은 발생 순에 관계없이 우선 서로 상계해야 한다.

 

->주식의 발행 방법

  • 평가 발행 : 주식의 발행 가격을 액면금액으로 발행하는 방법을 말한다,
  • 할증발행 : 주식 발행 시 발행 가격이 주당 액면금액 이상으로 발행하는 방법을 말한다.
  • 할인발행 : 주식 발행 시 발행 가격이 주당 액면금액 이하로 발행하는 방법을 말한다.
  • 무액면주식 발행 : 무액면 주식 발행 시 자본금은 발행금액의 1/2 이상, 나머지는 자본준비금으로 처리한다.

2) 주식발행비

--주식발행비에는 주권 등의 인쇄비, 주식모집의 광고비, 금융기관, 증권회사의 수수료, 변경등기의 등록세 등이 포함된다. 주식발행가액에서 차감토록 규정하고 있다.

 

2. 자본잉여금

--자본잉여금이란 증자 활동, 감자 활동 및 기타 자본과 관련된 거래에서 발생한 잉여금으로서 영업활동과 관련하여 발생한 이익잉여금과 구별되며 손익계산서를 거치지 않고 직접 자본계정에 가감된다.

 

1) 주식발행 초과금(paid in capital in excess of par value)

--주식발행가액이 액면가액 초과 시 동 초과액을 말한다. 주식 할인발행 차금이 발생하는 경우 동 금액과 우선 상계한다.

 

2) 감자차익(gain on retirement of capital stock)

--감자를 하면서 자본금의 감소액보다 더 적은 돈을 주주에게 주면 발생되는 차익이다. 주식회사에서 사업의 규모를 축소하기 위하여 발행한 주식을 매입 소각하거나, 결손금을 보전하기 위하여 자본을 감소시키는 것을 감자라 하며, 이 경우 감소한 자본금이 주금의 환급액 또는 결손금의 보전액을 초과할 때의 초과액 감자차익으로 처리하며 감자 차손 잔액이 있는 경우 이를 우선 상계 제거하여야 한다.

 

3) 자기 주식 처분이익

--상법에 규정되어 있는 특별한 경우에는 자기 회사의 주식을 일시적 보유 목적으로 매입할 수 있으며, 취득 시 취득원가는 자기 주식 계정 차변에 기입하고, 이것을 처분할 때 처분 차익이 발생하면, 자기 주식 처분이익으로 처분 차손이 발생하면 자기 주식 처분손실로 처리하며 자기 주식 처분이익과 자기 주식 처분손실을 서로 상계 제거대상 항목이다.

 

4) 기타 자본 잉여금

  • 주식결제형 주식 선택권
  • 전환권대가 와 신주인수권 대가

3. 자본조정과 기타 포괄손익누계액

--자본 조정은 성격상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으로 분류할 수 없는 성격의 항목을 일시적으로 자본조정으로 분류하였다가 상각 또는 처분손익에 가감되어 소멸한다.

 

1) 자본조정(capital adjustment)

  • 자기 주식(treasury stock) : 자기 주식이란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유가증권 중 자사가 발행한 주식을 말한다. 이는 주식을 발행한 회사가 자사 발행주식을 매입 또는 증여에 의하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말하며, 재취득 주식 또는 금고 주라 고도한다. 소각하거나 추후 재발행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경우의 자기 발행 주식을 말한다.
  • 주식 할인발행 차금(discounts on stock issuance) : 회사 설립의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액면미달의 발행이 금지되어 있느냐 회사가 설립 2년 이후에 신주식을 액면가액 이하로 할인 발행하였을 경우 액면가액과 발행가액과의 차액을 말한다. 주식발행 초과금과 주식 할인발행 차금은 서로 상계하며, 상계 후 잔액은 이익 처분하며 처분할 이익이 없는 경우에는 차기 이후의 기간에 이월하여 상각 한다.
  • 미교부 주식 배당금(unissued stock dividend) :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상의 주식배당액을 말한다. 이익처분계산서에 포함된 배당은 재무상태표에 부채로 인식하지 아니하며, 재무상태표에는 이익잉여금 처분 전의 재무상태를 표시한다. 주식배당예정액을 계상하며, 자본 가산항목임에 주의한다.
  • 자기 주식 처분손실과 감자 차손 : 감자를 하면서 자본금의 감소액보다 더 많은 돈을 주주에게 주면 발생되는 차손이다. 자기 주식 처분손실은 자기 주식 처분이익, 감자 차손은 감자차익과 우선 상계하고 잔액이 있는 경우 처분 가능 이익잉여금이 생길 때까지 자본조정으로 이연 처리한다.

2) 기타 포괄손익누계액(accumulated other comprehensive income)

  • 해외사업 환산손익 : 해외지점 또는 해외사업소의 외화자산과 부채를 화폐성, 비화폐 성법을 적용하며 환산하는 경우 발행하는 것으로서 환산손익의 처리는 본사 소유 외화자산, 부채의 환산손익의 처리화 동일하다.
  • 매도가능 증권평가손익 : 매도가능 증권을 공정가액 법 평가 시 발생한다.
  • 파생상품평가손익 : 파생상품이란 원자재, 통화, 증권 등의 기초자산에 근거하여 파생된 상품으로 광의로는 기초자산 이외의 모든 상품으로 보기도 하고 혐의로는 장래 가격 변동에 따른 위험을 소액의 투자로 사전에 방지, 위험을 최소 하하는 목적으로 도입된 선도계약, 선물계약, 스왑계약, 옵션계약 등만을 일컫기도 한다. 현금흐름 위험회피 유형에서의 평가손익 계정으로 처리한다.(위험회피에 효과적인 부분)

4. 이익잉여금

--이익잉여금(또는 결손금)은 손익계산서에 보고된 손익과 다른 자본항목에서 이입된 금액의 합계액에서 주주에 대한 배당, 자본금으로의 전입 및 자본조정 항목의 상각 등으로 처분된 금액을 차감한 잔액이다. 이익잉여금은 주주총회의 결의에 의하여 이미 처분된 것이다. 이익잉여금의 처분액은 사외로 지출되는 것(배당금 지출, 상여금 지출 등)과 사내에 유보(준비금, 적립금)되는 금액이 있다.

 

1) 분류

  • 법정적립금(legal reserve) : 이익준비금(금전 이익배당의 1/10 이상 금액 매기 적립), 기타 법정적립금(기업합리화 적립금과 재무구조개선 적립금이며, 현재는 적립의무 없음)
  • 임의적립금(voluntary reserve)
  • 미처분 이익잉여금(unappropriated earned surplus)

2) 배당

  • 배당기준일 : 배당 회계처리 없다.
  • 배당 선언일 : 미지급 배당금 계상한다.
  • 배당금 지급일 : 미지급 배당금 상계 분개(375 이월 이익잉여금 = 미처분 이익잉여금)
  • 현금배당 : <배당 선언일>      차) 미처분 이익잉여금        대) 미지급 배당금                                             
  • 현금배당   <배당금 지급일>   차) 미지급 배당금              대) 현금                                                          -
  • 주식배당 : <배당 선언일>      차) 이월 이익잉여금           대) 미교부 주식 배당금                                       
  • 현금배당   <배당금 지급일>   차) 미교부 주식 배당금        대) 자본금(액면가액 법)                                       
  • 중간배당 : 영업연도 도중에 결산이 행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익배당과 유사한 이익분배를 행하는 것을 중간배당이라 한다.                                                                                                         
  • 현물배당 : 재산으로 배당가능

3)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surplus appropriation statement)

  • 이익잉여금 처분 : 이월 이익잉여금의 수정사항과 당기이익잉여금의 처분사항을 명확하게 보고하기 위해 작성하는 명세서이다.
  • 처분계산서의 명칠 :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와 결손금 처리한 계산서의 명칭은 이익잉여금 처분 여부로 구분(임의적립금을 이입하여 이익잉여금 처분 가능)
  •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상의 처분내용들은 재무상태표일 후에 발생한 사건으로 주주총회일에 회계 처리한다.

- 재무상태 표상 이월 이익잉여금으로 최종 계산되는 금액 =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상의 미처분 이익잉여금

반응형

'전산세무 > 전산세무 제1편 이론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변경과 오류수정  (0) 2022.03.29
수익과 비용  (0) 2022.03.28
비유동부채의 종류  (0) 2022.03.26
유사 계정 과목 비교  (0) 2022.03.25
유동부채란  (0) 2022.03.23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