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산세무 (55)
나의 첫 발걸음
전산 세무 1장 재무회계 14 자본 --법인의 자본은 자본금,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기타 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을 말한다. 1. 자본금(capital stock) --자본금은 법정자본금을 말하며 보통주와 우선주는 배당금 지급 및 청산 시의 권리가 상이하기 때문에 보통주 자본금과 우선주 자본금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1) 주식발행 --상법에서는 수권 자본제를 도입하여 정관에 발행할 주식의 총수를 정하여 회사 설립 시에는 일정액 이상을 발행하고 나머지는 자금이 필요할 때 수시로 이사회의 의결로 주식을 발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주식 할인발행 차금과 주식발행 초과금은 발생 순에 관계없이 우선 서로 상계해야 한다. ->주식의 발행 방법 평가 발행 : 주식의 발행 가격을 액면금액으로 발행하는 방법을 말한..
전산 세무 1장 재무회계 13 비유동부채(long term liability) 1. 사채(corporate bond) --1년 후에 상환되는 사채의 액면가액으로 하되, 사채는 회사가 일반 투자 대중으로부터 거액의 자금을 장기간 차입, 사용하기 위하여 발행한 기업의 채무증권이다. 사채의 발행가액은 액면가액의 현재가치와 이자의 연금 현재가치의 합계이다. 1) 사채의 발행방법 평가 발행(발행 가격 100원 = 액면가액 100원) (시장이자율 = 액면이자율) 할인발행(발행 가격 70원 액면가액 100원) (시장이자율 > 액면이자율) 2) 사채 발행비의 회계처리 --사채 발행 시 든 제비용(사채권 인쇄비 등)을 사채 발행비라 하며..
전산 세무 1장 재무회계 12 유사 계정과목 비교 1. 선급금과 선수금 1) 선급금(advanced payments) --상품을 인수하기 전에 상품 대금의 일부를 미리 지급한 경우에는 선급금 계정 차변에 기입하고, 후일 상품을 인수하면 선급금 계정 대변에 기입한다. 2) 선수금( advance from customers) --상품을 인도하기 전에 상품 대금의 일부를 미리 받은 경우에는 선수금 계정 대변에 기입하고, 후일 상품을 인도하면 선수금 계정 차변에 기입한다. 2. 단기대여금과 단기차입금 1) 단기대여금(short term loans) --어음을 교부받고, 대여기간 1년 이내인 금전을 대여한 때에는 단기대여금 차변에 기입하고 이를 회수한 때에는 대변에 기입한다. 단기대여금에 대한 이자를 받았을 때에..
전산 세무 1장 재무회계 11 유동부채 (current liabilities) 기업이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장래에 일정한 기간 내에 갚아야 할 각종의 채무로서 1년 이내에 지급해야 할 유동부채와 1년 이후에 지급해야 할 비유동부채로 구분된다. 다만 정상적인 영업 주기 내에 소멸할 것으로 예상되는 매입채무와 미지급비용 등은 보고기간 종료일로부터 1년 이내에 결제되지 않더라도 유동부채로 분류한다. 이 경우 유동부채로 분류한 금액 중 1년 이내에 결제되지 않을 금액일 주석으로 기재한다. 과 목 내 용 외상 매입금 상품, 원재료를 외상으로 매입한 경우 지급 어음 상품, 원재료를 매입하고 어음을 발행한 경우 매입 채무 외상매입금과 지급어음 금액을 합한 금액 단기 차입금 1년 이내에 지급할 조건으로 현금을 ..
전산 세무 1장 재무회계 10 투자자산(investment assets) 기업 판매활동 이외의 장기간에 걸쳐 투자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자산으로서 투자부동산, 매도가능 증권 등을 말한다. 1. 유가증권의 정의 및 최초 인식 1) 유가증권의 정의 및 최초 인식 --유가증권은 재산권을 나타내는 증권을 말하며, 실물이 발행된 경우도 있고, 명부에 등록만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유가증권은 적절한 액면금액단위로 분할되고 시장에서 거래되거나 투자의 대상이 된다. 유가증권에는 지분증권과 채무증권이 포함된다. 2) 유가증권의 최초 인식 --유가증권의 최초 인식에 관한 규정은 공통사항을 따른다. 그리고 단기매매증권의 최초 취득가액은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취득과 관련되는 거래 원가는 당기비용(영업외 비용)으로 ..
전산 세무 1장 재무회계 09 무형자산(intangible asset) 기업이 보유한 자산 중 물리적 실체는 없지만 식별할 수 있는 비화폐성 자산으로서 1년을 초과하여 영업에 사용 예상인 자산을 말한다. 1. 무형자산의 인식 요건 1) 식별 가능성 : 무형자산의 정의에서는 영업권과 구별하기 위하여 무형자산이 식별 가능할 것을 요구한다. 2) 통제 : 무형자산의 미래 경제적 효익을 확보할 수 있고 그 효익에 대한 제삼자의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면 자산을 통제하고 있는 것이다. 3) 미래 경제적 효익 : 무형자산의 미래 경제적 효익은 재화의 매출이나 용역 수익, 원가절감 또는 자산의 사용에 따른 기타 효익의 형태로 발생한다. 2. 무형자산의 인식과 최초 측정 --다음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만 무형자산..
전산 세무 1장 재무회계 08 감가상각(depreciation) 1. 감가상각(depreciation) --유형자산의 가치 감소를 산정하여 그 금액을 유형자산의 금액에서 공제함과 동시에 비용으로 계상하는 절차이다. 즉 원가배분 절차이다. 1) 감가상각 대상금액 --유형자산의 감가상각 대상금액은 내용연수에 걸쳐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배분한다. 각 기간의 감가상각액은 다른 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당기손익으로 인식한다. 예를 들면, 제조공정에서 사용된 유형자산의 감가상각액은 재고자산의 원가를 구성한다. 2) 감가상각 시작 시점 --유형자산의 감가상각은 자산이 사용 가능한 때부터 시작한다. 즉 경영진이 의도하는 방식으로 자산을 가동하는 데 필요한 장소와 상태에 이른 때부터 시작한다. ..
전산 세무 1장 재무회계 07 유형자산(tangible assets) 1. 유형자산의 정의 -- 재화의 생산, 용역의 제공, 타인에 대한 임대 또는 자체적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보유하는 물리적 형체가 있는 자산으로서, 1년을 초과하여 사용할 것이 예상되는 자산을 말한다. 2. 유형자산의 취득원가 --유형자산은 최초에는 취득원가로 측정하며, 현물출자, 증여, 기타 무상으로 취득한 자산의 가액은 공정가치를 취득원가로 한다. 취득원가는 구입 원가 또는 제작원가 및 경영진이 의도하는 방식으로 자산을 가동하는 데 필요한 장소와 상태에 이르게 하는 데 직접 관련되는 원가인 다음과 같은 관련된 지출 등으로 구성된다. 매입할인 등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차감하여 취득원가를 산출한다. 설치장소 준비를 위한 지출 외부 운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