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첫 발걸음
기초정보입력--2 본문
전산 세무 1장 프로그램 설명
01 기초정보 입력
3. 환경 등록
--시스템 환경을 설정하는 메뉴이다. 시스템 환경 설정은 부가세 소수점 관리, 분개 유형 설정, 추가 계정 설정, 금액에 부가세 포함 여부 등 회계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초기 설정값을 신중하게 고려하여 결정하고 기입한다.
1) 부가세 소수점 관리
--매입매출전표 입력 시 수량, 단가 및 금액의 소수점 관리를 위한 항목이다. 수량 및 단가는 소수점 자릿수의 입력과 이에 따른 이하 자릿수의 처리방법을 선택한다. 금액은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의 처리방법을 선택한다.
2) 분개 유형 설정
- 매입, 매출 : 매입매출전표 입력 시 자동 분개되는 매입매출 계정 코드이며 기본값이 0146(상품), 0401(상품 매출)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품 매출, 원재료 매입이거나, 다른 매출, 매입 해당 코드로 수정, 입력한다.
- 매입채무, 매출채권 : 매입매출전표 입력 시 자동 분개되는 매입채무 매출채권 코드이며 기본값이 0251(외상매입금), 0108(외상매출금)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주 매입채무 계정이 외상매입금, 주 매출채권 계정이 외상매출금이 아닌 경우는 사용자가 해당 코드로 수정, 입력한다.
- 매입채무, 매출채권 : 자동 분개되는 신용카드 매출채권 기본값이 0120(미수금), 0252(미지급금)으로 되어 있으며, 다른 계정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바꾸어 입력한다.
3) 추가 계정 설정
--업태 종목이 여러 개인 경우 분개 유형 유형 설정에서 설정한 것 이외의 매출(매입)과 매출채권(매입채무)을 추가로 설정하여 분개를 자동으로 하고자 함이다.
4) 부가세 포함 여부
- 카드입력방식 : 부가세 1. 포함으로 설정된 경우 매입매출전표에서 유형 17. 칸과 57. 칸과 입력 시 공급가 액란에 부가세를 포함한 금액을 입력하면 그 입력한 금액에서 부가세를 제외한 금액이 자동 산출된다. 0. 미포함으로 설정된 경우 매입매출전표에서 유형 17. 카과 57. 카과 입력 시 공급가 액란에 부가세를 제외한 금액을 입력하면 된다. 기본 계정은 0. 미포함으로 설정되어 있다.
- 건별 공급가액에 부가세 포함 : 카드입력방식과 동일하다.
- 과세 공급가액에 부가세 포함 : 세금계산서의 공급가액에 부가세 포함 여부 표시한다.
5) 봉사료 사용 여부
--신용카드에 구분 기재한 봉사료가 있는 경우에 사용으로 한다.
6) 유형
--불공(54)의 불공제 사유와 영세율 매출명세서의 영세율 구분을 입력한다.
7) 단가 표시
--수량과 공급가액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공급가액을 수량으로 나누어 단가를 표시한다.
8) 성실신고 사업자
--소득세법상 성실신고기준은 해당 과세연도의 수입금액을 직전 과세연도의 수입금액보다 100분의 10 이상 신고하고, 해당 과세연도의 소득금액을 직전 과세연도의 소득금액 이상 신고할 것으로 한다.
9) 표준(법인세)용 재무제표
--법인세상 재무제표 작성 시 일반법 인용과 금융기관용 중 선택한다.
10) 건물 외유형 자산 상각방법
--고정자산 간편 등록 시 세팅할 상각방법을 선택한다. 무신고시 정률법으로 한다.
11) 고정자산 간편 등록 사용
--전표 입력에서 비유동자산(건물, 차량운반구 등) 계정과목을 간편 등록으로 등록 여부 선택하며, 사용으로 선택 시 간편 등록 화면이 나타나게 된다.
12) 자동 복사 기능(현장, 부서, 프로젝트 코드)
--전표 입력 시 해당 코드를 엔터 입력으로 자동 복사를 안 하고자 할 때 선택한다.
13) 세금계산서 인쇄 시 복수거래 정렬방법 설정
--복수거래 입력 시 입력 순 또는 금액순으로 입력하고자 할 때 선택한다.
14) 면세류 입력 설정
--의제매입세액공제율과 재활용 폐자원 매입세액공제율을 선택한다.
4. 거래처 등록
--상품, 제품의 외상거래나 기타 채권, 채무에 관한 거래가 발생했을 때 외상매출금 계정이나 외상매입금 계정 등의 보조장부로서 거래처별 장부를 만들게 되는데 이렇게 각 거래처별 장부를 만들기 위해서는 장부를 만들고자 하는 거래처를 등록하여야 한다. 각 계정 원장에 대한 보조부로서의 거래처 장부를 만들 수 있으며 이 장부를 거래처 원장이라 한다.
거래처 등록은 회사 기본사항 등록과 마찬가지로 거래처의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받아 등록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지만 사업자등록증의 내용이 그대로 반영되는 세금계산서나 일반 영수증을 보고 입력해도 된다.
- 코드 : 00101~97999의 범위 내에서 코드번호를 부여한다.
- 거래처명 : 거래처로부터 받은 사업자등록증 상의 상호를 입력한다.
- 유형 : 유형은 매출거래이면 1. 매출, 매입 거래처인 경우에는 2. 매입, 매출 거래처와 매입 거래처에 동시에 해당된다고 그러면 3. 동시를 선택한다.
1) 일반 거래처 등록사항
- 사업자등록번호 : 해당 거래처의 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한다.
- 주민등록번호 : 거래처가 기업이 아닌 일반인인 경우는 세금계산서 합계표상 주민등록 기재분으로 표시하여야 하므로 본 프로그램에서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한 후 우측의 주민 등록기 재분 여부 입력란에 숫자 1. 주민 개재분을 입력한다.
- 대표자 성명 : 거래처의 대표자 성명을 입력한다. 종사 업장 번호는 부가가치 세법상 사업자단위 과세를 적용받는 종사 업장의 구분코드이다.
- 업종 : 거래처의 사업장 등록증상 업태와 종목을 입력한다.
- 우편번호와 사업장 주소 : 거래처의 우편번호와 사업장 소재지를 검색하여 입력한다. 신주소를 사용하여 입력한다.
- 연락처 : 거래처의 전화번호와 팩스번호를 입력한다.
- 담당 사원(당사) : 해당 거래처를 담당하는 우리 회사 담당 사원을 입력한다.
- 인쇄할 거래처명 : 세금계산서에 인쇄할 거래처명을 입력한다. 기본은 거래처명이 세팅된다.
- 담보설정액 : 담보설정액이 있으면 입력한다.
- 여신한도액 : 해당 거래처에 대출 여신한도액을 입력한다.
- 주류 코드 : 거래처가 주류업체의 경우 세금계산서 합계표 비고란에 주류라고 표기하기 위해 입력한다.
- 입금계좌번호 : 거래대금 입금계좌번호를 입력한다.
- 업체 담당자 연락처 : 전자세금계산서 발송 시 수신담당자를 입력한다.
- 거래처분 류명 : 거래처를 일정 기준에 의해 분류하고자 하는 경우에 입력한다.
- 거래처 시작(종료) 일 : 거래처 거래시작일과 종료일을 입력한다.
- 비고 : 거래처에 대한 특이사항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입력한다.
- 사용 여부 : 거래처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여, 미사용시에는 부를 입력한다. 거래처 코드를 미사용으로 세팅 시 코드 도움에서 나타나지 않게 된다.
2) 금융기관 거래처
--금융기관 거래처는 9800~99599번까지 입력 가능하며, 보통예금, 당좌예금, 정기예금, 정기적금 유형으로 나누어 입력한다. 순차적으로 코드를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98001의 경우 숫자 1을 입력, 98002의 경우는 2 입력으로 간편 등록이 가능하다.
3) 신용카드 거래처
--신용카드거래가 있는 매출(가맹점 번호), 매입(카드번호)을 관리하고자 할 때 신용카드 거래처를 입력한다. 신용카드 거래처는 99600~99999까지 입력 가능하다.
'전산세무 > 전산세무 제2편 실무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래 자료 입력 --1 (0) | 2022.06.04 |
---|---|
기초정보입력--5 (0) | 2022.06.03 |
기초정보입력--4 (0) | 2022.06.02 |
기초정보입력--3 (0) | 2022.04.30 |
기초정보 입력--1 (0) | 2022.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