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첫 발걸음
기초정보입력--3 본문
전산 세무 1장 프로그램 설명
01 기초정보 입력
5. 계정과목 및 적요등록
--회사에서 사용할 계정과목을 정의하고, 해당과목의 특성에 따른 구분을 규정하며 전표입력 편의와 능률향상을 위해 빈번히 사용되는 적요를 입력하는 메뉴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계정과목과 적요가 이미 입력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회사 특성에 따라 필요한 계정과목명과 적요의 신규등록 또는 수정작업만 행하면 된다. 계정과목은 0101부터 10100번까지의 코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거래자료입력 작업시 거래의 내용을 명확히 파악하여 이에 따른 적정한 계정과목을 선택해 사용하여야 한다. 특히 동일한 명칭을 가지고 있는 계정과목이 제조원가, 보관원가, 도급원가, 운송원가, 분양원가, 판매비와 일반관리비의 항목에서 코드를 달리하여 사용하고 있다.
1) 계정체계
--0101부터 1010번까지 부여된 계정과목코드가 어떤 순서에 의해 정리되어 있는 지를 보여준다. 이는 코드체계와 계정과목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코드체계의 범위를 벗어나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재무제표가 자동으로 작성될 때 항목간 수치가 잘못 계산되므로 유의해야 한다.
2) 계정과목의 신규등록
--계정과목의 신규등록은 코드체계 범위 내에서 사용자설정계정과목란에 추가로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0249번 코드를 사용자설정계정과목에 댐사용권이라는 계정과목을 추가로 등록하여 사용하고자 한다면 커서를 0249 코드에 위치시키고 사용자설정계정과목에 댐사용권이라고 덧씌워 입력하면 된다.
3) 계정과목의 수정
--화면을 보면 계정과목명이 검정색 과목과 빨간색 과목이 있다. 검정색 과목은 코드 범위 내에서 과목을 고쳐야 할 때 바로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빨간색 과목은 계정과목이 갖고 있는 특수한 성격이 있으므로 바로 수정할 수가 없다. 부득이 꼭 수정을 해야 할 때에는 계정과목의 명칭만을 수정할 수가 있으며, 이때에는 키보드의 ctrl키를 누른 상태에서 F2키를 누르면 빨간색 계정과목을 수정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4) 성격
--일반적인 항목으로 초기값이 설정되어 있으며 계정과목에 따라 성격이 다르므로 사용자가 선택한다.
- 예금 : 예금계정과목으로서 자금항목에 예금으로 설정 시 선택
- 적금 : 적금계정과목으로서 자금항목에 적금으로 설정 시 선택
- 일반 : 일반적인 성질의 계정과목
- 차감 : 본계정의 차감성질로서 재무제표등에 차감하는 형식으로 표시가능
- 유가증권
- 가지급금 : 임직원에게 대여한 자금으로서 가지급금인정이자 계산이 필요한 계정
- 받을어음 : 어음관리가 필요한 계정에 받을어음을 세팅하면 자금관리가 가능
- 대여금 : 자금관리가 필요한 계정에 설정 시 대여금으로 표시
- 일반재고 : 매입, 제조한 재고자산
- 공정재고 : 제조과정에 있는 재고자산
- 환출차감 : 재고자산에 차감성격인 매입환출등
- 할인차감 : 재고자산에 차감성격인 매입할인등
- 관세차감 : 수출을 전제로 수입한 원재료에 대해 관세환급금 발생시 제품차감으로 설정
- 평가충당금 : 재고자산에 대한 평가손실의 누계액
- 상각 : 감가상각이 필요한 자산
- 비상각 : 감가상각이 불필요한 토지 등의 자산
- 임시 : 건설중인 자산과 같은 임시적인 자산, 차후 상각자산으로 대체가능
- 차입금 : 자금관리가 필요한 계정을 차입금으로 표시
- 가수금 : 입직원등으로부터 일시적으로 받은 자산중에 가지급금인정이자계산시 가지급금에서 차감가능한 가수금인 경우에 선택
- 지급어음 : 어음관리가 필요한 계정인 경우에 선택
- 준비금 : 세법상 적립성질의 계정인 경우에 선택
- 충당금 : 기업회계기준 또는 세법상 적립성질의 계정인 경우에 선택
- 사채차입금 : 회사채 계정과목인 경우에 선택
- 증가 : 본계정에 증가로 표시되는 사채할증발행차금과 같은 계정인 경우 선택
- 자본금 : 회사 자본금으로 보는 계정인 경우에 선택
- 자본잉여금 : 주식거래로 인한 잉여금
- 평가이익 : 기타포괄손익누계액에서 자본의 증가항목
- 평가손실 : 기타포괄손익누계액에서 자본의 감소항목
- 법정적립금 : 법적으로 적립이 의무화된 계정인 경우에 선택
- 임의적립금 : 회사 임의로 적립한 계정인 경우에 선택
- 미처분이익 : 주주총회, 이사회 등에서 처분하지 않은 잉여금
5) 관계
--계정과목중에 차감계정이 필요하거나 재고자산에 의해 소비액이나 매출원가를 계산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관계코드를 입력하여 표시한다.
- 차감계정 : 매출채권과 감가상각자산인 비유동자산의 경우 차감계정이 필요하다.
- 매출원가 계산 : 제품매출원가처럼 제품소비액에 의해 매출원가를 계산한다면 제품을 제품매출원가에 입력하여야 한다.
6) 적요등록
--적요란 거래내역을 간략하게 요약한 것이다. 매일 매일의 거래내역을 전표로 발행하다 보면 같은 내용의 거래가 반복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렇게 반복되는 내용을 적요번호로 등록해 놓았다가 전표 입력시 등록된 내용의 번호를 선택하여 입력하면 시간이 많이 절약된다. 일반적요는 수정이 가능하나 빨간색으로 표시된 고정적요는 수정이 불가능하다.
'전산세무 > 전산세무 제2편 실무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래 자료 입력 --1 (0) | 2022.06.04 |
---|---|
기초정보입력--5 (0) | 2022.06.03 |
기초정보입력--4 (0) | 2022.06.02 |
기초정보입력--2 (0) | 2022.04.28 |
기초정보 입력--1 (0) | 2022.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