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첫 발걸음
기초정보 입력--1 본문
반응형
전산 세무 1장 프로그램 설명
01 기초정보 입력
1. 메뉴의 구성
1) 기초 정보 등록
- 회사등록 : 사업자등록증에 의해 사업자 등록번호, 상호명, 기수, 회계기간, 업태와 종목 등의 회사 정보를 등록한다.
- 거래처 등록 : 상품, 원재료의 매입처와 상품 및 제품의 매출처, 은행 거래처, 신용카드 가맹점 등에 대한 거래처의 정보를 등록한다.
- 계정과목 및 적요 등록 : 프로그램 사용을 위한 기본적인 계정과목은 이미 등록되어 있으나 기장하는 회사의 특성에 따른 계정과목의 추가 및 수정 작업과 적요의 수정 및 등록을 한다.
- 환경 등록 : 회사의 공통적인 사항 등을 사전에 등록하여 반복 입력하는 불편함을 없애준다.
2) 전기 분재 무제 표등
- 전기분 재무상태표 : 계속기업에 대한 전년도 재무상태표를 이월하는 작업이다.
- 전기 분원 가명 세서 : 계속기업에 대한 전년도 제조원가명세서를 입력하는 작업이다.
- 전기분 손익계산서 : 계속기업에 대한 전년도 손익계산서를 입력하는 작업이다.
- 전기분 잉여금 처분계산서 : 계속기업에 대한 전년도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를 입력하는 작업이다.
- 거래처별 초기 이월 : 전년도 재무상태 표상의 일부 관리계정에 대한 거래처 잔액을 이월하는 작업이다.
3) 거래자료의 입력
- 일반 전표 입력 : 부가가치세와 관련 없는 일반적인 거래자료를 입력한다.
- 매입매출전표 입력 : 부가가치세와 관련 있는 거래자료를 입력한다.
-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 법인사업장의 경우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이 의무화되어 있다. 매입매출전표 입력 후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하여 국세청과 거래처에 전송하는 메뉴이다.
4) 장부관리
- 거래처원장
- 거래처별 계정과목별 원장
- 계정별 원장
- 현금출납장
- 일계표(월계표)
- 분개장
- 총계정 원장
- 매입매출장
- 세금계산서 현황
- 전표출력
5) 결산/재무제표 확인
- 결산자료입력
- 합계 잔액 시산표
- 재무상태표
- 손익계산서
- 제조원가명세서
-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
6) 고정자산 및 감가상각
- 고정자산등록
- 미상 각분 감가상각비
- 양도자 산감 가상 각비
- 고정자산관리대장
2. 회사등록
--회사등록은 회계처리를 하고자 하는 회사를 등록하는 작업으로 가장 기본적이고 우선되어야 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본 메뉴에서 등록된 내용이 각종 출력물(인쇄물) 상의 회사 기본사항에 자동 표시됨은 물론 각종 계산(특히 세무조정)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정확히 입력되어야 한다.
사업자가 세무서에 사업자등록 신청을 하면 사업자등록증의 내용으로 작성된다. 즉 각종 세무신고나 세무 관련 증빙 작성, 계약서 작성, 각종 기관에 제출되는 서류 등의 작성 시 회사 인적사항은 사업자 등록증 내용으로 쓰이게 된다.
- 코드 : 등록할 회사의 회사코드를 부여하며, 0101~9999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 회사명 : 사업자등록증에 기재된 상호명을 입력한다.
- 구분 : 법인의 경우 1, 개인의 경우는 2를 선택한다.
1) 기본사항
- 회계연도 : 작업할 회사의 기수와 회계연도를 입력한다. 회사에서 일정기간 동안의 경영성과를 명백히 계산하기 위하여 1년 이내의 일정기간을 설정하는데, 이를 회계연도 또는 회계기간이라고 한다. 개인사업자의 경우 매년 1.1~12.31까지를 1회계 연도로 정하고 있으며, 신규로 사업을 개시하였을 경우 사업 개시 일부터 12.31까지를 1회계 연도로 정하고 있다. 법인사업자의 회계기간을 회사 정관에서 규정하며, 회계기간 종료일에 따라 12월 말 법인, 3월 말 법인 등으로 부르고 있다.
- 사업자 등록번호 : 사업자등록증 상의 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한다. 사업자등록번호는 일정 규칙에 의해 부여된 번호이므로 , 정확히 입력되어야 한다. 프로그램 내에는 사업자등록번호 자동 체크 기능이 있어 오류입력의 경우 빨간색 박스로 표시된다.
- 법인등록번호 : 법인에 대한 등록번호는 법인의 설립등기를 하는 때에 이를 부여한다. 앞 4자리는 등기 관서 분류번호, 그다음 2자리는 법인 종류별 분류번호, 그다음 6자리는 일련번호, 마지막 1자리는 오류 검색 번호이다.
- 대표자 성명 : 사업자등록증 상의 대표자를 입력한다. 대표자가 2인 이상일 때는 대표자 1명 만을 입력하고 그 밖의 대표자는 외 몇 명으로 입력한다.
- 대표자 주민번호 및 대표자 외국인 여부 : 사업자등록증 상의 대표자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한다. 그리고 대표자가 외국인 여부를 체크한다.
- 사업장 주소 : 주소를 조회하여 사업장 소재지를 입력한다. 현재는 신주소를 사용한다.
- 본점 주소 : 본점 소재지를 입력한다. 현재는 신주소를 사용한다.
- 업태 : 사업자등록증상에 기재된 업태를 입력한다. 사업형태를 말한다.
- 종목 : 사업자등록증상에 기재된 종목을 입력한다.
- 업종 : 업태와 종목을 합친 용어이다.
- 주 업종코드 : 수입금액이 가장 큰 업태 종목의 기준경비율 코드를 입력한다.
- 사업장 전화번호
- 사업장 팩스번호
- 법인 구분 : 본점 소재지를 기준으로 본점이 국내에 있으면 내국법인을 입력한다.
- 법인 종류별 구분 : 상장 여부, 영리와 비영리 구분 등에 따른 종류별 번호를 입력한다.
- 중소기업 여부 : 중소기업 기준 검토표에 따른 중소기업 여부를 입력한다.
- 설립 연월일 : 법인등기부상의 설립 연월일을 입력한다.
- 개업 연월일 : 사업자등록증 상의 개업 연월일을 입력한다. 영업(사업)을 처음 시작하는 날을 말한다.
- 폐업 연월일 : 부가세법상 폐업 년월일을 입력한다. 사업개시일부터 폐업 년월까지를 확정신고기간으로 한다.
- 사업 장동 코드 : 국세청에서 제공하는 법정동 코드를 입력한다. 이는 해당 시군 구엥 해당하는 고유 코드이다.
- 본점동 코드 : 국세청에서 제공하는 법정동 코드를 입력한다. 이는 해당 시군 구엥 해당하는 고유 코드이다.
- 사업장 관할 세무서 : 반드시 코드번호를 입력한다.
- 본점 관할 세무서 : 반드시 코드번호를 입력한다.
- 지방소득세 납세지 : 법인세의 10%를 지방소득세로 납부하는 경우의 시군구를 기재한다.
2) 추가사항
- 부가세 신고방법 : 부가가치세는 각 사업장마다 사업자 등록을 하는 것이 원칙이나 두 개 이상의 사업장을 가지고 있는 사업자는 사업자 단위로 등록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업자 등록, 세금계산서의 교부 등도 주된 사업장 1곳에서 하도록 하는 제로를 사업자단위 과세라 한다. 반면 총괄납부는 납부만 총괄하여 한 사업장에서 할 수 있는 제도이다.
- 반기별 납부 여부 : 원천징수 이행상황 신고서는 원칙적으로 지급한 달의 다음 달 10까지 납부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예외적으로 반기납부 소득 지급일이 속하는 반기의 다음 달 10일까지 납부할 수 있다.
반응형
'전산세무 > 전산세무 제2편 실무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래 자료 입력 --1 (0) | 2022.06.04 |
---|---|
기초정보입력--5 (0) | 2022.06.03 |
기초정보입력--4 (0) | 2022.06.02 |
기초정보입력--3 (0) | 2022.04.30 |
기초정보입력--2 (0) | 2022.04.28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