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첫 발걸음

감가상각방법 본문

전산세무/전산세무 제2편 실무편

감가상각방법

pinkbee 2022. 6. 7. 23:29
반응형

전산 세무 1장 프로그램 설명

03 감가상각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방법은 해당 자산으로부터 예상되는 미래 경제적 효익의 소멸 행태에 따라 선택하고, 소멸 행태가 변하지 않는 한 매기 계속 적용된다. 새로 취득한 유형자산에 대한 감가상각방법도 동종의 기존 유형자산에 대한 감가상각방법과 일치시켜줘야 한다.

 

1. 감가상각 기본이론

1) 감가상각방법의 적용

--비유동자산의 상각액은 법인이 신고한 상각방법에 의하여 계산하며, 상각방법의 변경은 회계추정의 변경에 속한다. 단, 세법상 상각방법의 신고가 없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으며 프로그램 상의 감가상각방법은 정액법과 정률법 만 지원한다.

구분 신고시 무신고시
건축물과 무형 고정 자산(기타) 정액법 정액법
건축물 이외의 유형 고정 자산 정률법 또는 정액법 정률법
광업권 (채취권 포함) 생산량 비례법 또는 정액법 생산량 비례법
광업용 유형 고정 자산 생산량 비례법, 정률법 또는 정액법 생산량 비례법
개발비 20년 이내의 기간 내에서 신고한 내용연수 5년간 균등 상각법

2) 감가상각방법의 신고

--상각방법의 신고는 세법이 정하는 감가상각방법 신고서에 의하여 다음 각 호에 규정하는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법인세 과세표준의 신고기한까지 납세지 관할 세무서장에게 하여야 한다. 이 경우 신고한 상각방법(무신고자는 무신고 상각방법)은 그 후 사업연도에 있어서도 계속하여 그 상각방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감가상각은 사용한 때부터 시작한다.

 

2. 고정자산등록

--비유동자산항목을 입력하여 자동으로 감가상각비를 산출하고자 입력하는 메뉴이다.

 

1) 주요 등록사항

  • 자산계정과목 : 대상 자산의 계정과목 코드를 조회하여 입력한다.
  • 자산코드/명 : 코드 6자리, 자산명은 한글은 10자, 영문은 20자 이내로 구체적인 자산 품목명을 입력한다.
  • 취득 연월일 : 해당 자산을 취득한 년, 월, 일은 세법상 해당 자산의 사용년, 월, 일을 입력하면 된다.
  • 상각방법 : 정률법, 정액법 중 해당 번호를 선택한다. 상각방법 무신고시 정률법을 세법상 적용한다. 단, 건물, 구축물의 경우 세법상 정액법 만 가능하다.
  • 기초 가액 : 전기말 현재의 취득가액(자본적 지출을 포함)을 입력한다. 단, 당기 중의 취득한 금액은 추가 등록사항의 당기 증가액에 넣어주어야 법인조정 서식이 제대로 작성됨에 주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무형자산의 경우의 재무상태표 가액이 상각 후의 금액이다.
  • 전기말 상각 누계액 : 전기말 현재의 감가상각 누계액을 입력한다.
  • 전기 말장부 가액 : 기초 가액에서 전기말 상각 누계액을 차감하여 자동 계산한다.
  • 당기 중 취득 및 당기 증가 : 당기 중에 취득이 있거나, 자본적 지출에 대해 회사가 해당 자산의 취득원가에 가산 처리 시 자본적 지출액을 입력한다.
  • 당기 감소(일부 양도, 매각, 폐기) : 일부 자산의 매각, 폐기 등이 있으면 그 금액을 기재한다. 자동으로 전기말 상각 누계액은 감소액에 해당되는 금액만큼 자동 계산되어 감소한다.
  • 전기 말자 본적 지출액 누계(정액법 만) : 전기말까지 지출된 자본적 지출액을 입력한다.
  • 당기 자본적 지출액(즉시 상각분) : 자본적 지출액 중 비용 처리한 금액을 입력한다.
  • 전기말 부인 누계액(정류만 상각 대상에 가산) : 전기말까지 세법상 부인(한도초과액)된 금액이 있으면 입력한다.
  • 전기말 의제액 : 전기말 현재의 의제 상각 누계액을 입력한다.
  • 상각 대상금액 : 감가상각 대상인 금액을 말하며, 이 금액은 자동 계산된다.
  • 내용연수 : 해당 자산의 내용연수를 입력하면 상각률이 자동으로 표시된다. 내용연수를 기준 내용연수의 25%를 가감한 범위내서 회사가 선택하여 신고내용연수로 할 수 있다.
  • 상각 범위액(한도액, 10 x 상각률) : 이것은 세법이 정하는 상각 한도액을 말한다.
  • 회사 계상액 : 회사가 장부에 계상한 금액을 말한다. 자동 계산된 금액을 사용 자수정을 클릭하여 수정입력 가능하다.
  • 경비 구분 : 고정자산의 용도에 따른 감가상각비의 경비를 구분하며, 선택할 수 있는 번호는 판관비면 6800번대 제조경비에 해당하면 1500번대를 선택하여 입력한다.
  • 단기 말 감가상각 누계액 : 전기말 상각 누계액과 당기 상각비의 합계액이 자동 표기된다.
  • 당기말 장부가액 : 기초 가액에서 당기말 상각 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이 자동 표시된다.
  • 당기 의제 상각비 : 조특법에 의해 법인세가 감면되는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는 세법이 정하는 상각 범위액까지는 무조건 감가상각비를 계상하여야 하는데 미계상 했거나 적게 상각을 한 경우에 세법에 의하여 강제로 비용 처리하게 되며, 그 조정금액이 의제 상각비가 된다.
  • 양도일자 : 전체 자산의 양도가 있으면 양도일자를 기재하여 다음연도에 이월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 폐기 일자 : 고정자산을 폐기 처분한 경우 입력한다.
  • 업종 : 내용연수별 적정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구분이며 도움 키를 이용하여 선택하여 입력한다.

2) 추가 등록사항

--자산변동처리는 자산변동이 어떻게 일어났는지를 비망 사항으로 보여준다. 다른 메뉴에 영향을 미치거나, 반영되지는 않는다.

반응형

'전산세무 > 전산세무 제2편 실무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가가치세신고  (0) 2022.06.09
결산하는 방법  (0) 2022.06.08
거래 자료 입력--2  (0) 2022.06.05
거래 자료 입력 --1  (0) 2022.06.04
기초정보입력--5  (0) 2022.06.03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