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첫 발걸음
감가상각방법 본문
반응형
전산 세무 1장 프로그램 설명
03 감가상각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방법은 해당 자산으로부터 예상되는 미래 경제적 효익의 소멸 행태에 따라 선택하고, 소멸 행태가 변하지 않는 한 매기 계속 적용된다. 새로 취득한 유형자산에 대한 감가상각방법도 동종의 기존 유형자산에 대한 감가상각방법과 일치시켜줘야 한다.
1. 감가상각 기본이론
1) 감가상각방법의 적용
--비유동자산의 상각액은 법인이 신고한 상각방법에 의하여 계산하며, 상각방법의 변경은 회계추정의 변경에 속한다. 단, 세법상 상각방법의 신고가 없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으며 프로그램 상의 감가상각방법은 정액법과 정률법 만 지원한다.
구분 | 신고시 | 무신고시 |
건축물과 무형 고정 자산(기타) | 정액법 | 정액법 |
건축물 이외의 유형 고정 자산 | 정률법 또는 정액법 | 정률법 |
광업권 (채취권 포함) | 생산량 비례법 또는 정액법 | 생산량 비례법 |
광업용 유형 고정 자산 | 생산량 비례법, 정률법 또는 정액법 | 생산량 비례법 |
개발비 | 20년 이내의 기간 내에서 신고한 내용연수 | 5년간 균등 상각법 |
2) 감가상각방법의 신고
--상각방법의 신고는 세법이 정하는 감가상각방법 신고서에 의하여 다음 각 호에 규정하는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법인세 과세표준의 신고기한까지 납세지 관할 세무서장에게 하여야 한다. 이 경우 신고한 상각방법(무신고자는 무신고 상각방법)은 그 후 사업연도에 있어서도 계속하여 그 상각방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감가상각은 사용한 때부터 시작한다.
2. 고정자산등록
--비유동자산항목을 입력하여 자동으로 감가상각비를 산출하고자 입력하는 메뉴이다.
1) 주요 등록사항
- 자산계정과목 : 대상 자산의 계정과목 코드를 조회하여 입력한다.
- 자산코드/명 : 코드 6자리, 자산명은 한글은 10자, 영문은 20자 이내로 구체적인 자산 품목명을 입력한다.
- 취득 연월일 : 해당 자산을 취득한 년, 월, 일은 세법상 해당 자산의 사용년, 월, 일을 입력하면 된다.
- 상각방법 : 정률법, 정액법 중 해당 번호를 선택한다. 상각방법 무신고시 정률법을 세법상 적용한다. 단, 건물, 구축물의 경우 세법상 정액법 만 가능하다.
- 기초 가액 : 전기말 현재의 취득가액(자본적 지출을 포함)을 입력한다. 단, 당기 중의 취득한 금액은 추가 등록사항의 당기 증가액에 넣어주어야 법인조정 서식이 제대로 작성됨에 주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무형자산의 경우의 재무상태표 가액이 상각 후의 금액이다.
- 전기말 상각 누계액 : 전기말 현재의 감가상각 누계액을 입력한다.
- 전기 말장부 가액 : 기초 가액에서 전기말 상각 누계액을 차감하여 자동 계산한다.
- 당기 중 취득 및 당기 증가 : 당기 중에 취득이 있거나, 자본적 지출에 대해 회사가 해당 자산의 취득원가에 가산 처리 시 자본적 지출액을 입력한다.
- 당기 감소(일부 양도, 매각, 폐기) : 일부 자산의 매각, 폐기 등이 있으면 그 금액을 기재한다. 자동으로 전기말 상각 누계액은 감소액에 해당되는 금액만큼 자동 계산되어 감소한다.
- 전기 말자 본적 지출액 누계(정액법 만) : 전기말까지 지출된 자본적 지출액을 입력한다.
- 당기 자본적 지출액(즉시 상각분) : 자본적 지출액 중 비용 처리한 금액을 입력한다.
- 전기말 부인 누계액(정류만 상각 대상에 가산) : 전기말까지 세법상 부인(한도초과액)된 금액이 있으면 입력한다.
- 전기말 의제액 : 전기말 현재의 의제 상각 누계액을 입력한다.
- 상각 대상금액 : 감가상각 대상인 금액을 말하며, 이 금액은 자동 계산된다.
- 내용연수 : 해당 자산의 내용연수를 입력하면 상각률이 자동으로 표시된다. 내용연수를 기준 내용연수의 25%를 가감한 범위내서 회사가 선택하여 신고내용연수로 할 수 있다.
- 상각 범위액(한도액, 10 x 상각률) : 이것은 세법이 정하는 상각 한도액을 말한다.
- 회사 계상액 : 회사가 장부에 계상한 금액을 말한다. 자동 계산된 금액을 사용 자수정을 클릭하여 수정입력 가능하다.
- 경비 구분 : 고정자산의 용도에 따른 감가상각비의 경비를 구분하며, 선택할 수 있는 번호는 판관비면 6800번대 제조경비에 해당하면 1500번대를 선택하여 입력한다.
- 단기 말 감가상각 누계액 : 전기말 상각 누계액과 당기 상각비의 합계액이 자동 표기된다.
- 당기말 장부가액 : 기초 가액에서 당기말 상각 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이 자동 표시된다.
- 당기 의제 상각비 : 조특법에 의해 법인세가 감면되는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는 세법이 정하는 상각 범위액까지는 무조건 감가상각비를 계상하여야 하는데 미계상 했거나 적게 상각을 한 경우에 세법에 의하여 강제로 비용 처리하게 되며, 그 조정금액이 의제 상각비가 된다.
- 양도일자 : 전체 자산의 양도가 있으면 양도일자를 기재하여 다음연도에 이월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 폐기 일자 : 고정자산을 폐기 처분한 경우 입력한다.
- 업종 : 내용연수별 적정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구분이며 도움 키를 이용하여 선택하여 입력한다.
2) 추가 등록사항
--자산변동처리는 자산변동이 어떻게 일어났는지를 비망 사항으로 보여준다. 다른 메뉴에 영향을 미치거나, 반영되지는 않는다.
반응형
'전산세무 > 전산세무 제2편 실무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가가치세신고 (0) | 2022.06.09 |
---|---|
결산하는 방법 (0) | 2022.06.08 |
거래 자료 입력--2 (0) | 2022.06.05 |
거래 자료 입력 --1 (0) | 2022.06.04 |
기초정보입력--5 (0) | 2022.06.03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