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첫 발걸음
결산하는 방법 본문
전산 세무 1장 프로그램 설명
04 결산
1. 결산 정리 분개
--감가상각의 경우와 같이 회계기간 중에 기록하지 않은 재산의 변동을 인식하는 과정을 결산 정리라 하고 결산 정리가 필요한 사항을 결산 정리사항이라고 한다. 기중의 회계처리만으로는 실제 기업의 일정 시점의 재무상태, 일정기간의 경영성과 등을 회계장부가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결산시기의 회사의 재무상태를 장부에 반영하고, 기중의 경영성과를 적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 결산 정리 분개를 하는 것이다. 결산 정리 분개 후에 재무제표를 작성하여야 당해 재무제표가 해당 기업의 실제 상황을 제대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1) 현금 과부족 정리
- 실재 현금잔액(100) < 장부상 현금잔액(120) : 장부상 현금잔액보다 실제 보유하고 있는 현금이 부족하거나 결산시까지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경우 현금 과부족을 잡손실로 대체한다.
- 실재 현금잔액(130) > 장부상 현금잔액(120) : 장부상 현금잔액보다 실제 보유하고 있는 현금이 많은 경우로 결산시까지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경우에는 현금 과부족을 잡이익으로 대체한다.
2) 대손충당금(보충법) 설정
--합계 잔액 시 산 표상의 채권잔액을 조회한 후 설정한다.
3) 비용의 이연(선급비용)
--이미 지급한 비용 중 차기에 속하는 금액은 해당 비용 계정의 대변에 기입하여 차감하고 자산계정인 선급비용 계정 차변에 기입하여 차기로 이연한다.
4) 수익의 이연(선수수익)
--당기에 받은 수익 중 차기에 속하는 금액은 해당 수익 계정 차변에 기입하여 차감하고 부채 계정인 선수수익 계정 대변에 기입하여 차기로 이연한다.
5) 비용의 예상(미지급비용)
--당기에 속하는 비용으로서 아직 지급되지 않은 금액으로 지급 기일 미도래분으로 해당 비용 계정 차변에 기입하여 가산하고 부채 계정인 미지급 비용 계정으로 처리한다.
6) 수익의 예상(미수수익)
--당기에 속하는 수익으로서 아직 받지 않은 기간 경과 수익은 해당 수익 계정 대변에 기입하여 가산하고 자산계정인 미수수익 계정으로 차변 처리한다. 미수수익은 미지급비용과 반대되는 개념이다.
7) 퇴직급여 충당부채
--퇴직급여도 퇴직급여 추계액을 계산하여야 퇴직급여 충당부채 설정 분개를 할 수 있다. 추계액은 당기말에 전입지 구언이 퇴사 시 지급되어야 될 퇴직금의 합계이다. 근로의 제공은 회사의 수익창출에 간접적인 공헌을 한다. 따라서 수익 비용 대응의 원칙에 따라 매 회계연도에 퇴직금을 비용으로 인식해야 한다.
8) 미사용 소모품의 계상
--소모품은 유동자산항목에 속하는 것으로 기업에서 영업활동 및 운영 활동을 보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문구 등 주로 소액인 자산을 기록하는 계정과목을 말한다.
- 비용으로 처리하는 방법 : 소모품 구입 시에 비용인 소모품비 계정으로 처리하고 결산시 미사용 잔액을 자산 계정인 소모품 계정으로 대체하는 방법이다.
- 자산으로 처리하는 방법 : 소모품 구입 시에 소모품 계정인 자산으로 처리하고 결산시 사용액을 비용 계정인 소모품비 계정으로 대체하는 방법이다.
9) 원가계산(당기 제품 제조원가)
--기업 실무에서는 제조원가명세서에서 원가계산과정을 총하여 재공품과 제품의 원가를 계산한다. 프로그램에서는 결산자료입력에서 전표 추가를 함으로써 자동으로 전표가 발생한다.
당기 제품 제조원가 = 기초 재공품 + 당기 총제 조비용(=제조원가) - 기말 재공품
10) 매출원가의 인식
--기중에 매출이 다수 발생하는 경우에, 매건 별 매출이 발생할 때마다 매출원가를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기말에 기말재고자산을 실시하여 매출원가를 확정하게 된다. 프로그램에서는 결산자료 입력에서 전표 추가를 함으로써 자동으로 전표가 발생된다.
매출원가 = 기초재고 + 당기 매입(또는 당기 제품 제조원가) - 기말재고(실사액)
11) 법인세비용 인식
- 법인세 등의 중간예납 : 사업연도가 6월을 초과하는 법인은 중간예납 의무가 있다. 사업연도가 1월 1일부터 12월 31일이라면 8월 31일까지 법인세 중간예납을 한다.
- 법인세 비용 인식
2.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
1) 손익 대체
--수익비용 계정의 마감과 마찬가지로 손익 대체도 전산회계시스템에서 자동전표 생성으로 회계 처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결산을 마무리하는 최종적인 분개로서 손익 대체의 분개가 존재한다.
상기 손익 대체 분개를 함으로써 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표의 회계처리가 마무리된다. 손익계산서의 당기순이익이 재무상태표의 이익잉여금에 반영되는 회계처리를 하게 되는 것이다. 실무상으로 대부분의 전산회계프로그램은 자동전표에 의하여 손익 대체 분개를 한다. 상기 결산 정리 분개의 내용이 수정후 시산표에 반영되고 그 결과 제조원가명세서, 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등의 서식이 작성되는 것이다.
2)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의 작성 및 회계처리
--일반적으로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안)는 법인결산을 하면서 작성된다.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는 법인 결산 확정일에 다음과 같은 회계처리를 하면서 확정된다.
[결산 순서 요약]
1) 수동 결산 내용 → 일반 전표 입력(12월 31일)
선급 비용, 선수 수익, 미지급 비용, 미수 수익, 소모품, 현금 과부족, 법인세 선납 세금의 정리, 부가가치세 계정의 정리, 대손충당금 환입, 유가 증권의 평가, 외화 혼산 손익, 재고 자산 평가와 감모 손실 계상 등
2) 자동 결산 내용 → 결산 자료 입력
제조업 : 0455. 제품 매출 원가 - 0500번대 경비 선택
기말 실지 재고 금액을 입력
감가상각비(무형자산 상각비) 입력 - 감가상각( F7 )을 이용하여 자동 입력
퇴직 급여 충당 부채 전입액 입력 - 퇴직 충당(Ctrl + F8)을 이용하여 자동 입력
대손상각비의 입력 - 대손상각( F8 ) 을 이용하여 자동 입력
- 무형 자산의 상각액 입력
- 법인세 비용 등의 입력
☞ 대손상각비란 입력 시 주의(보충법) : 합계 잔액 시산표 채권 잔액
(매출 채권 잔액 × 대손 예상률) - 대손 충당금 잔액 = (+) 면 상각, (-) 면 환입
상각분 → 결산 자료 입력란에 입력
환입분 → 일반 전표 입력에서 수동 결산
☞ 법인세 비용 입력 시 선납 세금과 미지급 세금(선납 세금 차감 후 금액) 모두 결산 자료 입력(원천 납부 세액 등이 선납 세금 계정에 계상된 경우 일반 전표에서 수정 분개한 내용을 차감한 차액을 자동 결산에 입력한다.
3) 입력 종료 후 → 반드시 "전표 추가" 아이콘 클릭
결산 분개를 일반 전표에 추가하시겠습니까? 예(Y)
4) 제조 원가 명세서와 손익 계산서 선택적 조회(조회를 하지 않아도 당기순이익 산출 가능)
5) 이익 잉여금 처분 계산서 조회 (제조 원가 명세서와 손익 계산서 조회 없이 작성 가능)
편집된 데이터가 있습니다.
편집된 데이터를 불러오시겠습니까? → 아니오(N)
6) "전표 추가" 아이콘 클릭 (처분 내역이 없는 경우나 중간 결산 시도 전표 추가를 해야 함)
일반 전표에 대체 분개를 추가하시겠습니까? → 예(Y) : 마감 분개와 손익 분개 발생
7) 재무 상태표 조회 : 재무 상태 표의 미처분 이익 잉여금이 재무 상태표에 반영
※ 결산 분개 삭제 : 일반 전표 입력 결산월(12월)에서 Shift + F5
'전산세무 > 전산세무 제2편 실무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가가치세 부속서류--1 (0) | 2022.06.11 |
---|---|
부가가치세신고 (0) | 2022.06.09 |
감가상각방법 (0) | 2022.06.07 |
거래 자료 입력--2 (0) | 2022.06.05 |
거래 자료 입력 --1 (0) | 2022.06.04 |